기업의 "이익"을 나타내는 여러 용어 중 가장 흔히 쓰이는 3가지를 소개한다.
1. 순이익 (Net income)
흔히 재무제표에서는 "당기 순이익"이라는 항목으로 확인 가능하다. 순이익은 기업 이익을 나타내는 가장 상위 개념이다. 결국 중요한 건 뺄거 다 빼고 순수하게 본 이익이기 때문이다. 순이익은 영업을 통해 얻은 순이익 (영업이익)과 영업 이외의 활동, 가령 금융 및 투자 소득 등을 통해 얻은 순이익(영업외수익)으로 나눌 수 있다.
⊙ 순이익 = 영업이익 + 영업외수익
2. 영업이익 (Operating income)
기업이 이익을 얻는 루트는 다양하다. 물건이나 서비스를 팔아 얻기도하고, 투자 이익이나 이자, 저작권료 등 수입도 있다. 이때 전자를 영업이익이라 한다. 즉 영업이익은 기업이 자신들 분야의 영업 활동을 통해 얻은 순이익이다. 자신들의 물건이나 서비스를 팔아서 벌어들인 돈인 셈이다. 영업이익 계산식은 아래와 같이 매출을 통해 얻은 이익에서 판매 활동을 위해 쓰인 지출(판매비나 관리비 등)을 빼서 구한다.
⊙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판매비 및 관리비 비용
3. 매출총이익
매출총이익은 가장 하위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실제로 매출을 통해 기업내 들어온 금액에서 물건 또는 서비스 자체의 원가를 뺀 금액이다. 즉 매출에서 발생한 순이익이라 보면 되겠다.
⊙ 매출총이익 = 매출액 - 원가
우선 기업 이익을 설명할 땐 이 3가지 용어가 가장 자주 등장하며 의미가 크다. 기업 평가 에서는기업 자신들 주 분야에서 얼마나 돈을 잘 벌고있느냐가 핵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업 수익이 가장 중요하며, 영업외수익은 부차적인 항목이다.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참고로 이해를 돕기 위해 벤다이어그램으로 상위/하위 구조를 시각화 해두었다. 아래 벤다이어그램을 종이에 직접 몇번 그려보면 개념이 머리에 들어오는 데 더 수월할 것이다. 기초 내용인만큼 쉽게 쉽게 공부해나가자.
'프로젝트 Fi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효율적인 자기계발법 (0) | 2022.06.18 |
---|---|
다시 시작해보는 프로젝트 FIRE (파이어족 프로젝트) (0) | 2022.06.06 |
투자전략 | NCAV (Net Current Asset Value) (0) | 2022.02.20 |
투자근거 | 재무상태표 (자본총계, 차입금비율, 청산가치, PBR) (0) | 2022.02.19 |
투자근거 | 포괄손익계산서 (0) | 2022.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