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에는 직장일 오후에는 육아. 시간은 늘 부족하다. 그러나 아무리 어려워도 Input은 꾸준히 넣어야 한다.
보고 읽고 쓰고, 오래 생각하고 행동하고 체화해야 한다. 그래야 조금이라도 상황이 나아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1회 소모성 영상
유튜브는 좋은 공부 소스지만 복습은 잘 안 하게 되는 것 같다. 1회 시청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았다. 유익하다고 느낀 영상은 '저장하기' 하여 따로 목록에 넣어두긴 했다. 하지만 그마저도 잘 보게 되지 않더라. 이유를 생각해보니 크게 두가지다.
⊙ 옆길로 샘
⊙ 영상 컨텐츠 질 저하
우선 유튜브를 켜면 어그로성 썸네일이 한가득이다. 궁금증을 유발하여 클릭을 하게 만든다. 그래서 원래 좋은 영상 복습하려고 켰다가 다른 영상을 보게 된다. 옆길로 새는 거다. 그러면 시간이 또 가버리고. 이 패턴의 반복이다.
두 번째. 요새 유튜브 영상들 질이 예전만 못한 것 같다. 유튜브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다 보니 컨텐츠 제작자들은 영상을 공장처럼 찍어 올리게 되었다. 업로드 주기가 길어지면 구독자 이탈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해는 한다. 그러나 명백한 건 패스트푸드 같은 인스턴트 성 영상이 많아졌다는 점이다.
직접 쓴 글 다시 읽기
스스로에게 인풋을 넣는 데는 글쓰기 만한 것이 없다. 책이나 영상을 봤다면 그것에 대해 사유하고 문자로써 표현해봐야 한다. 그리고 틈틈이 다시 읽는다. 특히 나처럼 개인 시간이 없는 경우, 회사 화장실에서 주식창 볼 게 아니라 내가 예전에 썼던 글을 다시 보는 게 낫다. 직접 썼던 글이므로 매우 금방 읽을 수 있다. 짬짬이 유익한 input 하는 데는 이 정도로 효율적인 방법이 있을까 싶다. 그래서 지식이든, 마인드셋이든 그것이 뭐든 좋은 소스를 접했다면, 다시 보기 목록에 저장할 게 아니라 그냥 글을 쓰자. 그리고 다시 보자. 만약 개인 블로그에 글을 썼다면 내 공간이라 다시 보기에 편하다.

정리하자면 간단하다.
1. 유익한 소스를 접한다. (INPUT)
2. 그 유익한 소스에 대한 생각을 정리 요약해 직접 글을 쓴다.
3. 내가 쓴 글을 틈틈이 계속 다시 본다.
시간 없는 아빠 겸 직장인들은 효율적이어야 한다.
'프로젝트 Fi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시작해보는 프로젝트 FIRE (파이어족 프로젝트) (0) | 2022.06.06 |
---|---|
투자근거 |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총이익 (0) | 2022.03.01 |
투자전략 | NCAV (Net Current Asset Value) (0) | 2022.02.20 |
투자근거 | 재무상태표 (자본총계, 차입금비율, 청산가치, PBR) (0) | 2022.02.19 |
투자근거 | 포괄손익계산서 (0) | 2022.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