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투자 시 그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본 지표가 있다. 흔히 '가치투자'란 이 지표들을 토대로 가치를 측정한 뒤 투자하는 것이다.
네이버 검색 기준으로 해당 정보를 보는 루트는 다음과 같다.

Step1. NAVER 금융에서 기업 검색
Step2. 종목분석 클릭
Step3. 투자지표 클릭
1. EPS
EPS란 주식당 순이익을 뜻한다. 가령 한주당 70,000원인 종목의 EPS가 5,000이라면, 70,000원짜리 주식 하나로 5,000원을 벌어들인다는 의미다. 따라서 EPS가 높을 수 록 가성비가 좋은 회사라는 뜻이다.
2. BPS
주당 순자산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즉 {BPS = 자본총계/주식수}이다. BPS 값보다 현재 주식 가격이 높으면 해당 주식이 고평가 되어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주가가 BPS보다 낮으면 저평가 혹은 안전한 주식으로 볼 수 있다.
3. PBR
PBR이란 현재 주가를 BPS로 나눈 값 (PBR=현재주가/BPS) 으로 주가가 몇배나 고평가 되어있는지 나타낸다. PBR이 1이하라는 건, 회사가 가진 자본대비 주가가 1배 이하라는 의미이다. 즉 저평가 되어있다는 뜻이다.
4. EV/EBITDA
EV는 기업가치를 뜻한다. 즉 이 기업을 인수하는 데 필요한 돈 액수이다.
(EV = 시가총액 + 총부채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EBITDA란 세금을 내기 전 {순이익+이자비용+감가상각비}를 의미한다. 즉 벌어들인 돈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EV/EBITDA 지표는 내가 인수해서 몇 년안에 본전을 뽑을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단위는 '년(Year)'이다.
5. 배당성향(%)
배당성향이란 기업이 순이익의 얼마만큼을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나누어 주느냐를 나타낸다. 예를들어 배당성향이 17.81이라는 건 기업 순이익의 17.81%를 배당으로 주고 나머지는 재투자한다는 의미이다.
'프로젝트 Fi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근거 |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매출총이익 (0) | 2022.03.01 |
---|---|
투자전략 | NCAV (Net Current Asset Value) (0) | 2022.02.20 |
투자근거 | 재무상태표 (자본총계, 차입금비율, 청산가치, PBR) (0) | 2022.02.19 |
투자근거 | 포괄손익계산서 (0) | 2022.01.27 |
투자근거 | 현금흐름표 (재무제표) (0) | 2022.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