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잘쓰는법 2

기자의 글쓰기 : 맛있는 글을 위한 단순한 원칙

글은 모든 콘텐츠 바탕입니다. 글이 드라마가 되고 영화가 되고 음악이 됩니다. 글쓰기가 중요한 이유입니다. 그런데 정작 쓰는 법은 배워 본 적이 없습니다. 적어도 객관식만 풀던 제도권 교육에서는 말이죠. 성인이 되면 굳이 콘텐츠를 만들지 않아도 글 쓸 일이 많습니다. 대학생만 되어도 리포트를 얼마나 많이 쓰나요. 직장인이 되면 기획안, 업무 메일, 회의록 등을 씁니다. 그런데도 학교에선 왜 가르쳐주지 않았을까 의아스럽습니다. 어쨌든. 지금에라도 [쓰기] 능력이 중요함을 깨닫고 서점에 갔습니다. 여러 책을 뒤적이기를 한참. "아, 이 책이면 되겠다"라는 책을 집었습니다. 입니다. 왜 선택했나요? 살아있는 노하우를 알고 싶었습니다. 경영학과 교수로부터는 '경영학'을 배울 수 있지 '경영'을 배울 순 없습니다..

서재 2021.07.15

마케터의 문장 (아키노리, 2020)

요새는 굳이 작가나 마케터가 아니더라도 글 쓸 일이 많다. 회사에서 메일 쓰고 개인 SNS에 단 몇줄이라도 쓰는 것 모두 글쓰기다. 하지만 이렇게 자주 쓰면서도 "어떻게 하면 잘 쓸까?"에 대한 고민은 진지하게 안 해본 것 같다. 생각보다 강력한 문장 쓰기 능력 문장을 잘 쓰면 이점이 생각보다 많다. 메일을 빠르고 정확하게 쓴다면 업무 효율이 늘어난다. SNS에 공감 가는 문장을 쓰면 팔로워 수가 늘어난다. 프로필 문구를 흥미 있는 문장으로 채우면 누군가로부터 오프라인 미팅을 제안받을지도 모를 일이다. 다 좋은 문장에서 비롯되는 결과다. 내가 어떤 문장을 쓰느냐에 따라 일의 결과가 달라진다. 특히 사회생활을 앞두고 있거나 막 시작한 사람들이라면 이 사실을 꼭 기억해두고, 문장 쓰기 스킬을 익혀야 한다고 ..

서재 2021.07.07